‘범죄도시’는 2017년 개봉 이후 한국 액션 범죄 영화의 기준을 다시 쓴 작품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이 영화는 마동석의 인생 캐릭터 형성을 넘어, 장첸(윤계상 분) 같은 악역 캐릭터의 강렬한 존재감을 통해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단순한 액션을 넘어서 인간 본성, 조직 범죄의 잔혹성, 그리고 정의 실현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며 극장가를 강타한 ‘범죄도시’는 이후 시리즈화되며 대한민국 범죄 장르의 대표 프랜차이즈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 리뷰에서는 ‘범죄도시’의 줄거리 요약, 추천 이유, 그리고 실제 관객들의 평가를 중심으로 작품의 가치와 매력을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줄거리
‘범죄도시’는 2004년 실제 있었던 ‘왕건이파-흑사파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된 영화로, 서울 가리봉동 일대에서 활동하던 중국 조폭 조직과 이를 소탕하려는 강력계 형사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시작부터 긴박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평화롭던 지역 사회를 위협하는 외지 조직의 등장과 그로 인해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주인공 마석도(마동석 분)는 서울 강력계 형사로, 평소에는 유쾌하고 털털하지만 범죄를 마주할 때는 누구보다 단호하고 거침없는 수사력을 발휘하는 인물입니다. 그의 파트너 전일만 반장(최귀화 분)과 함께, 점차 세력을 확장해가는 중국 조직을 추적하며 사건의 중심으로 뛰어듭니다. 이 조직의 우두머리 장첸(윤계상 분)은 잔혹하고 이성적인 범죄자로, 돈과 권력을 위해 살인을 서슴지 않고, 협박과 폭력으로 조직을 운영합니다. 영화는 단순히 경찰과 범죄자 사이의 대립을 넘어, 대한민국 사회 내 외국인 범죄 조직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관객들에게 경각심을 줍니다.
또한, 실존했던 사건을 바탕으로 했기에 그 긴장감이 더욱 생생하게 전달되며, 전개 속도 또한 빠르게 진행되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관객이 몰입할 수 있는 스토리 라인을 제공하며, 실제 사건을 접하는 듯한 현장감을 전합니다. 이처럼 ‘범죄도시’는 단순히 자극적인 범죄 영화가 아닌, 사회적 문제를 짚는 리얼한 서사로 주목받았습니다.
추천하는 이유들
‘범죄도시’를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배우들의 압도적인 연기력과 리얼한 액션 연출입니다. 먼저 마동석은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대표 캐릭터 ‘마석도’를 완성하였으며, 이후 이 이름은 하나의 브랜드처럼 작용하게 됩니다. 마석도 형사의 캐릭터는 일반적인 히어로와는 달리, 거친 현실 속에서 온몸으로 범죄와 맞서는 ‘생활형 영웅’으로서 관객의 큰 공감을 얻습니다. 그의 주먹 하나로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모습은 단순히 통쾌함을 넘어서, 억눌려 있던 사회 정의에 대한 대리만족을 선사합니다.
윤계상은 장첸이라는 사상 최강의 빌런 캐릭터로 완벽 변신하며 자신의 연기 인생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냉혈하고 잔인한 그의 모습은 단순한 악당을 넘어서는 공포를 전달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끝없이 불안하게 만듭니다. 또한, 그의 말투, 행동, 표정 하나하나가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며 영화의 몰입도를 크게 높입니다. 연출 측면에서도 ‘범죄도시’는 국내 영화계에서 드물게 고어적 요소와 현실적 폭력을 절제 있게 사용하면서도 그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실제로 좁은 골목, 낡은 모텔, 고시원 등 한국의 특정 지역 사회를 사실감 있게 묘사함으로써, 극의 현실성을 높이고 관객으로 하여금 극 중 상황을 체험하게 만듭니다.
스토리 역시 클리셰 없이 빠르게 진행되어,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유지합니다. 특히, 범죄조직의 성장과 이를 저지하려는 경찰의 수사과정이 정교하게 얽혀 있으며, 각각의 캐릭터에 스토리적 개연성이 부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액션, 서스펜스, 감정선까지 삼박자를 고루 갖춘 이 영화는 단순한 오락영화를 넘어서는 작품으로 충분히 추천할 만합니다.
관객 평가
‘범죄도시’는 개봉 당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총 관객 수 688만 명을 돌파하였고, 평론가와 일반 관객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마동석의 영화’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그의 존재감은 절대적이었으며, 윤계상의 빌런 연기 역시 놀라운 호평을 이끌어냈습니다.
관객들의 리뷰 중 가장 많은 키워드는 ‘현실감’, ‘통쾌함’, ‘몰입도’, 그리고 ‘속 시원하다’는 표현이었습니다. 영화는 단순히 폭력을 소비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 안에 정의 구현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며 카타르시스를 선사합니다. “한 대 때릴까?”, “진실의 방으로”와 같은 명대사는 대중문화 속 밈(meme)으로 자리잡으며, 영화가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점에서 관객은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구나’라는 충격과 함께 현실의 어두운 단면을 직면하게 됩니다. 많은 관객들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그 여운이 오래 남았다고 평가했으며, 특히 장첸의 눈빛과 마석도의 주먹이 대조를 이루며 전달한 ‘악과 정의의 상징성’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속편인 ‘범죄도시2’, ‘범죄도시3’가 연이어 제작되면서 프랜차이즈화에 성공하였고, 이는 1편이 지닌 힘과 완성도가 그만큼 컸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결국 ‘범죄도시’는 액션의 통쾌함, 사회적 메시지, 배우들의 명연기, 연출의 탄탄함이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이래서 극장 가는구나’라는 만족감을 안겨준 작품입니다. 지금 봐도 여전히 긴장감 넘치고 흡입력 있는 이 영화는 모든 장르 팬에게 강력히 추천할 수 있습니다.